“960만원을 요구한 파양 계약, 2주 안에 협의없이 전액을 못 내면 3천만원의 위약금. 그 뒤엔 무엇이 있었나?” > 조사 & 구조활동

본문 바로가기

조사 & 구조활동

목록

“960만원을 요구한 파양 계약, 2주 안에 협의없이 전액을 못 내면 3천만원의 위약금. 그 뒤엔 무엇이 있었나?”

페이지 정보

본문

https://www.youtube.com/shorts/fZwe4pZGQkk


“960만원을 요구한 파양 계약, 2주 안에 협의없이 전액을 못 내면 3천만원의 위약금. 그 뒤엔 무엇이 있었나?”


파양하면 파양자에게 돈을 받는 곳. 일명 신종펫샵. 한 아이당 300-400 만원 이상. 

2주 안에 그 돈을 완납하지 못하면 수천만원의 위약금을 내야 합니다.  

안락사가 없는  요양보호소라고 마케팅하는 소위 '안락사 팔이'로 하루에 수천만원을 벌기도 하는 신종펫샵들. 


동물을 파양하는 사람들은 유기죄와 마음의 양심을 조금 덜 고자. 수백과 수천의 부담을 떠안으며 동물을 파양합니다. 

전국에 산재한,  동물보호소로 착각하게 만드는 신종펫샵으로. 그 동물들은 어떻게 될까요? 어디서 지낼까요? 살아는 있을까요? 


파양자는 말합니다. “자동차 대출, 카드 대출까지 권유받았습니다. 동물을 돌려받는 건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습니다.”

“동물을 파양하는 사람들을 이용한 신종펫샵에서 ‘라르고’와 ‘그냥’ 구출기” 

케어가 결국 나섰습니다. 


다음 영상에서 자세히  밝혀집니다.

_______________________

✅강력한 케어의 정기후원인단 신청➡프로필링크클릭 또는 https://animalrights.or.kr

▶일시후원  하나은행 350-910009-45704 (사단법인 동물권단체케어)

✅Paypal   paypal.me/care8886

————————-

#위기의동물곁에케어가있습니다 

#케어 #동물구조 #기부 #신종펫샵 #파양 #입양

Back To Top